본문 바로가기

리뷰 영화

[리뷰] 멈출 수 없는 방송 그리고 배우 강하늘. 영화 <스트리밍>

반응형

[위드인뉴스 김영식]

"아직 방송 안 끝났다!"

영화가 시작하면 다양한 크리에이터들의 모습이 펼쳐지고, 그중에서도 최고의 스트리머로 군림하는 '우상'(강하늘)은 오늘도 존재감 넘치는 모습으로 카메라 앞에 선다.

영화 <스트리밍>은 구독자 수 1위 범죄 채널 스트리머 '우상'이 미궁에 빠진 연쇄살인사건의 단서를 발견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며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을 그린 스릴러 영화이다.

배우 강하늘은 스트리머 '우상'으로서 거침없는 질주를 펼치며 극을 이끌고, 조장호 감독은 1인칭 생중계 화면을 활용한 독특한 연출로 긴장감을 더한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야

영화 <스트리밍>은 실제일까? 생각할 틈도 없이 빠르게 전개되는 초반 설정과 이야기 구조로 이 모든 것이 조작인지, 현실인지 헷갈리게 하며 관객을 사건 속으로 몰아넣는다.

특히 강하늘이 홀로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처럼 시작된 영화는 사건이 전개되면서 관련자들이 하나둘 등장하며 혼란을 더한다. 콘텐츠의 괴물이 되어가는 이들의 모습은 예상보다 훨씬 섬뜩하게 다가온다.

단순히 흘러가는 듯 보였던 이야기는 후반부로 갈수록 미궁에 빠지며 관객을 더욱 혼란스럽게 만든다. 무엇보다 원테이크로 이어지는 화면은 강하늘의 연기와 영화 속 상황을 더욱 밀착시키며, 관객이 자연스럽게 영화에 몰입하도록 이끈다.



최고의 스트리머 ‘우상’을 완성한 배우 강하늘

강하늘은 영화 <스트리밍>에서 범죄 사냥꾼 ‘우상’으로 분해 이전과는 다른 광기 어린 모습을 선보인다.

특히 그는 허세 가득한 인터넷 스타의 면모를 보여주다가도, 플랫폼 1위 스트리머다운 치밀한 추리력과 집요함을 발휘하며 관객을 사건의 끝으로 몰아넣는다.

동영상 생중계로 이야기를 끌어가는 작품 특성상, 강하늘은 카메라를 응시하며 채팅창의 동시접속자와 끊임없이 소통한다. 그리고 그는 영화가 진행될수록 변화하는 시선과 눈빛으로 캐릭터의 개연성을 구축하며 이야기 속으로 관객을 이끌고 있다.

"긴 러닝타임 동안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는 배우가 필요했다"는 조장호 감독은 “처음부터 강하늘이 아니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감독의 기대에 부응하듯, 강하늘은 ‘우상’이라는 인물을 완벽히 소화하며 극을 이끌어간다.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영화 <스위니 토드> 속 조니 뎁을 떠올리게 하는 날카로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작품의 원톱 배우로서 손색없는 존재감을 발휘한다.

 



익숙한 하지만 독특한 즐거움이 있는 설정

<스트리밍>은 유튜브 플랫폼에 익숙한 세대에게 친숙한 환경을 배경으로 하지만, 색다른 변주를 가미해 독창적인 스릴러를 만들어낸다.

영화 속에는 다양한 스트리머들이 등장하며, 동영상 플랫폼에서 벌어질 법한 일들을 현실감 있게 풀어낸다. 특히, <스트리밍>은 스트리머가 넘지 말아야 할 경계선을 조명하며, 그 아슬아슬한 순간을 극적으로 표현해 관객을 끝까지 긴장하게 만드는 스릴러의 미덕을 보여준다.

또한, 1인칭으로 진행되는 강하늘의 '우상'을 통해 그가 악당인지, 영웅인지 구분하기 힘든 장르적인 재미를 주기도 하는데 그 가운데 마틸다 역의 하서연 배우는 강하늘과 함께 작품의 중심을 잡아가며 관객의 몰입을 유지하게 하며 자신의 이름을 알린다.

또한, 1인칭 시점으로 진행되는 강하늘의 ‘우상’ 캐릭터는 그가 악당인지, 영웅인지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모호함을 선사하며 장르적 재미를 극대화한다. 여기에 마틸다 역의 하서연이 강하늘과 함께 극의 중심을 단단히 잡으며, 관객의 몰입감을 유지 시키는데 하서연은 이번 작품을 통해 자신의 이름을 각인시키는 강렬한 연기를 펼친다.

"아직 방송 안 끝났다!"

영화 <스트리밍>은 무분별하게 퍼지는 정보와 1인 미디어 환경의 현실을 조명한다. 영화 속에서 펼쳐지는 거짓말 같은 상황들이 실은 우리가 직면한 현실과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일상에서 비롯된 공포를 더욱 강하게 전달한다.


김영식 withinnews@gmail.com

728x90